본문 바로가기
정보

응급환자 대응 방법

by TIME FOCUS 2024. 11. 28.

응급환자 대응 방법

 

생명을 지키는 첫걸음

응급상황은 언제 어디서나 발생할 수 있습니다. 적절한 초기 대응은 환자의 생명을 구하고 회복 가능성을 높이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. 이번 글에서는 응급환자를 만났을 때의 올바른 대응 방법을 단계별로 정리해 보겠습니다.

 

 

이미지 출처 / talk0471 님의 블로그


1. 상황 파악과 안전 확보

응급상황이 발생하면 먼저 주변 환경을 점검하고 본인과 환자의 안전을 확보해야 합니다.

  •    주변 위험 요소 제거: 교통사고 현장, 화재 등에서는 2차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안전한 장소로 이동합니다.
  •    응급상황 확인: 환자가 의식이 있는지, 호흡과 맥박이 정상인지 확인합니다.

Tip: 119에 신고 전, 환자의 상태와 현장을 정확히 설명할 수 있도록 간단한 상황 기록을 준비합니다.


2. 즉시 도움 요청

  •    119 신고: 침착하게 상황, 위치, 환자의 상태를 상세히 알립니다.
  •    주변 도움 요청: 주변 사람에게 AED(자동심장충격기)나 응급키트를 가져오도록 부탁합니다.

119 신고 예시

  •    "현재 서울 강남구 00로에서 한 남성이 쓰러져 있습니다. 의식이 없고 호흡이 불규칙합니다. 응급차와 의료진을 요청합니다."

3. 환자의 상태 평가 및 응급처치

1) 의식 확인

  •   환자를 부드럽게 흔들며 "괜찮으세요?"라고 말합니다.
  •   반응이 없으면 즉시 다음 단계로 이동합니다.

2) 호흡 및 맥박 확인

  •   호흡 없음/비정상적일 경우: 심폐소생술(CPR)을 시작합니다.
  •   호흡이 정상적일 경우: 환자를 안정된 자세로 눕히고 추가적인 응급처치를 준비합니다.

3) 심폐소생술 (CPR)

  •   환자를 단단한 바닥에 눕힌 후, 가슴 중앙에 손바닥을 겹쳐 놓습니다.
  •   강하고 빠르게 (분당 100120회) 가슴을 56cm 깊이로 압박합니다.
  •   AED가 도착하면 즉시 사용합니다.

주의: CPR 중단은 119 구조대원이나 의료진이 현장에 도착할 때까지 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.


4. 추가 응급처치

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처치가 필요합니다.

  •   출혈: 깨끗한 천으로 상처를 누르며 압박하여 지혈합니다.
  •   골절: 환자를 움직이지 않고 부목 등을 사용해 고정합니다.
  •   화상: 화상 부위를 깨끗한 찬물로 식히고 붕대로 감쌉니다.

5. 구급차 도착 시 정보 제공

  •   환자의 상태 변화, 수행한 응급처치 내용, 알레르기 여부, 복용 중인 약물 등을 구급대원에게 상세히 전달합니다.
  •   구급차 동승 여부를 판단하여 추가 정보를 지원합니다.

6. 응급상황 이후 대처

  •   정신적 지원: 환자와 주변 사람들에게 안정감을 줍니다.
  •   사후 교육: 해당 상황을 분석하고 응급대처 지식을 복습합니다.

마무리

응급상황은 누구에게나 닥칠 수 있습니다. 평소에 기본 응급처치 방법을 배우고, AED 사용법과 CPR 기술을 연습해 둔다면 예상치 못한 위급 상황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.
이 글을 통해 많은 분들이 응급대처 능력을 갖추어 더 많은 생명을 구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.

반응형